Unity 공식 가이드 문서 요약 및 해설

이 문서는 Unity의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에서 포워드 렌더링 경로에 대해 설명합니다. 포워드 렌더링은 각 오브젝트가 영향을받는 조명에 따라 여러 번 렌더링됩니다.

포워드 렌더링 개요

  1. 오브젝트 렌더링: 각 오브젝트는 영향을 미치는 광원에 따라 한 번 이상의 패스에서 렌더링됩니다.
  2. 광원 처리:
  3. 가장 밝은 광원은 픽셀당 렌더링됩니다.
  4. 점 광원은 버텍스당 최대 4개까지 처리됩니다.
  5. 나머지 광원들은 스피리컬 하모닉스(SH)를 통해 빠르게 처리됩니다.

결정 요인

렌더 모드에 따라 광원의 처리 방식이 달라집니다: |렌더 모드|픽셀당 / 버텍스당| |---|---| |Not Important|항상 버텍스당 또는 SH| |가장 밝은 방향광원|항상 픽셀당| |Important|항상 픽셀당|

렌더링 과정

  1. 베이스 패스:
  2. 픽셀당 방향 광원 하나와 모든 SH/버텍스 광원으로 오브젝트를 렌더링합니다.
  3. 이 패스에서는 섀도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추가 패스:
  5. 각 추가 픽셀당 광원에 대해 추가 패스가 필요하며, 이 경우 기본적으로 섀도우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성능 고려 사항

  • 픽셀당 동적 조명: 많은 픽셀에 의해 렌더링이 증가하므로, 저사양 기기에서는 사용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정적 오브젝트는 라이트맵으로 처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최적화 전략

광원의 중요성 설정

게임 컨텍스트에 따라 광원의 중요성을 조정함으로써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경주 게임에서 헤드라이트는 중요한 광원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스피리컬 하모닉스 광원

SH 광원은 빠르게 렌더링되지만, 픽셀 대신 버텍스에서 계산되므로 한계가 있습니다. 이들은 동적인 오브젝트에 유용하지만, 조명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제

자동차 경주 게임

플레이어의 차량이 헤드라이트를 켜고 어둠 속에서 이동할 때: - 헤드라이트: 중요한 광원으로 설정하여 뛰어난 효과를 제공. - 배경 조명: 덜 중요한 광원으로 설정하여 성능을 최적화.

FPS 게임

적을 조명할 때: - 포커스 조명: 적의 위치를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중요한 광원으로 설정. - 환경 조명: 촘촘히 분산되는 광원으로 설정하여 게임의 몰입감을 높임.

결론

포워드 렌더링은 오브젝트와 광원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인 시각적 결과를 제공합니다. 올바른 광원 설정과 렌더링 패스 최적화가 성능과 그래픽 품질을 극대화하는 열쇠입니다.

Read more

Unity 매뉴얼 스크립팅 API 해설

이 문서는 Unity의 매뉴얼 스크립팅 API에 대한 간단한 해설과 활용 예제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Unity는 게임 개발 플랫폼으로, 스크립팅 API를 통해 게임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버전 Unity 스크립팅 API는 여러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주의 깊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전 설명 2023.2 최신 기능 및 버그 수정이 추가됨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Unity 매뉴얼 스크립팅 API 설명서 해설

이 문서는 Unity의 매뉴얼 스크립팅 API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버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내용들을 설명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주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고 활용 가능 예제를 통해 이해를 돕겠습니다. 기본 개념 Unity에서 스크립팅 API는 게임 오브젝트와 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게임의 로직, 물리 엔진, 애니메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Unity 스크립팅 API 가이드

이 문서는 Unity의 스크립팅 API에 대해 설명합니다. Unity는 게임 개발을 위한 인기 있는 엔진으로, 강력한 스크립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가이드는 Unity에서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목차 * Unity 스크립팅 소개 * 기본 스크립트 생성 * 스크립트 사용 예제 * 응용 프로그램 * 참고 자료 Unity 스크립팅 소개 Unity는 C# 프로그래밍 언어를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