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색 공간 설명 및 활용 방법
Unity는 두 가지 주요 색 공간인 감마(Gamma)와 리니어(Linear)를 지원합니다. 이 문서는 각각의 색 공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색 공간 전환시 주의할 점을 설명합니다.
1. 색 공간 개요
1.1 리니어 색 공간
- 리니어 색 공간에서는 색상이 선형적으로 처리되어 실제 조명 조건을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 이를 통해 조명 계산이 더 현실적이고 자연스러워지며, 특히 고동적 범위(HDR)에서의 결과물들이 더 이상적입니다.
1.2 감마 색 공간
- 감마 색 공간은 감마 보정을 사용하여 밝기가 조정된 색상으로, 종종 텍스처는 이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감마 색 공간을 통해 작업할 경우 높은 하드웨어 호환성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을 맞추기가 더 쉽습니다.
2. 리니어 및 감마 설정 변경 방법
감마 색 공간 설정 방법: 1. Edit
메뉴 선택 2. Project Settings
클릭 3. Player
카테고리 선택 4. Other Settings
로 이동 5. Rendering
섹션의 Color Space
를 Gamma
로 설정
리니어 색 공간 설정 방법: 1.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 메뉴에 접속합니다. 2. Color Space
를 Linear
로 설정합니다.
3. 텍스처 설정
3.1 텍스처 임포트 설정
- 텍스처가 감마 색 공간으로 인식되고 감마 보정이 자동으로 제거되지 않도록 하려면 "sRGB (Color Texture)" 체크박스를 해제합니다.
3.2 리니어 텍스처 작성
- 리니어 색 공간 때에는 색 ruang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sRGB 샘플링"을 바이패스합니다.
4. 리니어와 감마 색 공간의 차이점
- 리니어 색에서는 조명 계산에 사용하는 입력값이 감마 색과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 광원의 위치와 거리에 따른 반응 곡선이 다르기 때문에, 결과 조명 강도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리니어 렌더링에서는 조명과 반응이 더 정확하며, 객체가 실제로 어떻게 보이는지를 더 잘 반영합니다.
5. 예제: 리니어와 감마의 시각적 차이
사례 | 리니어 색 공간 | 감마 색 공간 |
---|---|---|
조명구조 | 더 선명한 에지 및 반응 | 부정확한 그래디언트 |
색상보정 | 정확한 색상 반응 | 밝기가 과도하게 강조됨 |
블렌딩 | 수학적으로 올바른 결과 | 예기치 않은 결과 |
이러한 색 공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Unity 프로젝트에서 더욱 사실적이고 매력적인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6. 결론
Unity에서 리니어 및 감마 색 공간의 차이를 알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렌더링의 정확성과 시각적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이 두 색 공간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고, 필요한 작업에 맞게 적절한 색 공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