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Terrain 설정 가이드
이 문서는 Unity에서 Terrain을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여기에서는 Terrain의 다양한 속성과 기능,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Terrain 설정
기본 터레인 프로퍼티
기능 | 설명 |
---|---|
Grouping ID | Auto Connect 기능에 사용되는 ID입니다. |
Auto Connect | 체크 시, 인접한 동일 Grouping ID를 가진 타일과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
Reconnect | Grouping ID가 변경되거나 Auto Connect가 비활성화된 경우에, 연결을 재구축하는 버튼입니다. |
Draw | 터레인의 렌더링을 활성화합니다. |
Draw Instanced | 인스턴스화 렌더링을 활성화합니다. |
Pixel Error | 터레인 맵과 생성된 터레인 사이의 매핑 정확도를 설정합니다. |
Base Map Dist. | 최대 거리에서 터레인 텍스처를 표시하는 설정입니다. |
Cast Shadows | 터레인의 그림자가 씬의 다른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
세부 설정
기능 | 설명 |
---|---|
Reflection Probes | 반사 프로브 사용 방식을 설정합니다. |
Material | 터레인 렌더링에 사용할 머티리얼을 지정합니다. |
Detail Distance | 디테일이 컬링되기 시작하는 카메라와의 거리입니다. |
Tree Distance | 나무가 컬링되기 시작하는 카메라와의 거리입니다. |
Detail Scatter Mode | 디테일을 흩뿌릴 때 사용하는 모드 타입을 설정합니다. |
활용 예제
- Terrain 생성: Unity에서 새 Terrain을 생성하고 다양한 기본 프로퍼티 값을 조정하여 원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 Terrain 텍스처 적용: Base Texture Resolution과 같은 설정을 조정하여 자원 효율적으로 텍스처를 적용하며,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 조명 설치: Contribute Global Illumination과 Receive Global Illumination 설정을 활성화하여 보다 리얼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터레인 운영 및 관리
임포트/익스포트
- 하이트맵 임포트:
Import Raw
버튼을 사용하여 외부 프로그램에서 만든 하이트맵을 Unity로 가져옵니다. - 하이트맵 익스포트:
Export Raw
버튼을 사용하여 현재 하이트맵을 외부 파일로 저장합니다.
레이어 설정
- Rendering Layer Mask: 이 설정을 통해 다양한 렌더링 레이어를 관리하여 복잡한 씬에서도 최적화된 렌더링을 할 수 있습니다.
- 터레인 콜라이더: Terrain 데이터와 상호작용하는 물리적 설정을 통해 물리적 충돌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결론
Unity의 Terrain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과 설정 가능성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복잡한 자연 환경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위의 설정과 활용 예제를 통해 원하는 환경을 구축하고 다룰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