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크로스 플랫폼 가이드
이 문서에서는 Unity에서 크로스 플랫폼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와 해법, 그리고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1. 크로스 플랫폼 개발 개요
대부분의 Unity API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하드웨어와 배포 방법의 차이로 인해 일부는 이식 시 재구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일반적인 크로스 플랫폼 문제와 해결책에 대해 다룹니다.
2. 입력 방식의 차이
입력 방식은 플랫폼 간 차이를 보이는 주요 예입니다.
2.1 키보드 및 조이패드 입력
Input.GetAxis 함수를 사용하여 데스크톱에서 키보드와 조이패드 입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바일에서는 이 방식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예제 코드:
// 수평 입력 값 반환
function Steering() {
return Input.GetAxis("Horizontal");
}
// 수직 입력 값 반환
function Acceleration() {
return Input.GetAxis("Vertical");
}
var currentGear: int;
// 기어 선택 반환
function Gears() {
if (Input.GetKeyDown("p"))
currentGear++;
else if (Input.GetKeyDown("l"))
currentGear--;
return currentGear;
}
위의 예제처럼 입력 클래스를 만들어 자신만의 함수에서 Unity API를 래핑하면 다른 플랫폼에서도 코드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3. 터치와 클릭 처리
Input.GetMouseButtonXXX함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를 마우스 클릭으로 처리합니다.- 예를 들면, 데스크톱에서의 줌은
+와-키로 대체되고, 모바일에서는 두 손가락 탭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4. 추가 입력 장치
-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GPS: 이 입력은 모바일의 이동성에서 파생된 것으로, 데스크톱에서 효과적으로 대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5. 성능 고려 사항
5.1 메모리 및 CPU 성능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모리 및 CPU 성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게임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데스크톱 성능을 목표로 한 게임은 모바일로 이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5.2 스토리지 요구 사항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한된 스토리지 공간을 가지므로, 자산 크기를 줄이거나 초기 다운로드 이후에 대규모 에셋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6. 메모리 관리
Unity는 메모리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하지만, 모바일에서는 가비지 컬렉션이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어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게임 코드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예제 및 활용
1. 사용자 정의 입력 처리
사용자 정의 입력 클래스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 맞는 입력 방식 조정:
public class InputHandler {
public float GetSteering() {
// 플랫폼에 따라 다르게 처리
}
public float GetAcceleration() {
// 플랫폼에 따라 다르게 처리
}
}
2. 메모리 최적화
게임 자산을 압축하고 로딩 시 필요한 부분만 불러오기:
Resources.Load("AssetBundleName");
3. 플랫폼 별 성능 측정
게임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모바일 최적화:
void Update() {
if (PerformanceMonitor.IsSlow()) {
// 게임 성능 감소 조치
}
}
이 문서를 통해 Unity에서의 크로스 플랫폼 개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다양한 예제를 활용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