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차세대 6G 위한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 성공적으로 검증
LG유플러스는 17일 포스텍의 홍원빈 교수 연구팀과 정밀소재 전문기업 코닝과 협력하여 차세대 6G 이동통신을 위한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의 검증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RIS 기술은 외부 전원이 필요 없이 전파를 정교하게 반사하거나 투과하여 음영지역에서도 원활한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으로, 6G 주파수 대역의 전송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상용화가 이루어지면 RIS는 중계기나 기지국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어, 건물 외벽이나 창문에 설치하여 음영지역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RIS 기술은 포스텍의 설계 기술과 코닝의 특수 유리 기술을 결합하여 7~14㎓ 어퍼 미드밴드 주파수에서 무선 신호의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성공했다.
LG유플러스는 RIS 검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에서 안리쓰(Anritsu) 6G 검증솔루션을 활용하여 시험을 진행했다. 검증 결과는 오는 18일부터 21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전파진흥주간' 행사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이 행사에서는 LG유플러스가 전용관을 운영해 6G 시대의 통신 인프라 혁신 가능성을 시연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업계와 학계의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이동통신의 미래 전략을 담은 '6G 백서'도 소개될 예정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이번 검증을 통해 6G 후보 주파수의 한계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향후 연구 개발을 지속해 더 많은 음영 지역에서 최적화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