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통신 혁신을 위한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검증 성공
LG유플러스는 POSTECH 홍원빈 교수 연구팀과 정밀소재 전문기업 코닝과 함께 6G 이동통신을 위한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검증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RIS 기술은 별도의 전원 없이 전파를 정교하게 반사하거나 투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심의 음영 지역이나 지하 공간에서도 원활한 신호 전달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6G 후보 주파수 대역의 전송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향후 RIS가 상용화되면 중계기나 기지국을 대체하여 건물의 외벽 또는 창문에 RIS를 설치함으로써 음영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RIS 기술이 포스텍의 설계 기술과 코닝의 특수 유리 기술을 활용하여 7~14GHz 대역에서 무선 신호의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전에도 LG유플러스는 5G 주파수를 이용한 RIS 실험에 성공하여 해당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점검한 바 있다. 5G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테스트 결과, 기존보다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파 송수신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6G에서도 RIS 활용 가능성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6G 시대에는 현재의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훨씬 높은 초고주파 대역이 활용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초당 수십 기가비트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지만, 고대역 주파수는 건물과 같은 장애물에 약해 음영 지역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IS 기술이 필수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6G RIS 검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전자파기술원에서 안리쓰(Anritsu) 6G 검증 솔루션을 활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검증 결과는 대한민국 전파진흥주간 행사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행사에서 6G 시대의 통신 인프라 혁신 가능성을 선보일 계획이며, 관련 기술에 대한 업계 및 학계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추후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의 미래를 제시하는 ‘6G 백서’도 소개할 예정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이번 6G RIS 검증을 통해 6G 후보 주파수의 한계 및 극복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연구개발을 지속하여 더 많은 음영 지역에서 최적화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