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024, 모바일에서 콘솔로의 전환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 필요성 강조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인 ‘지스타 2024’가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부산 해운대구의 벡스코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한국 게임 산업의 기술력과 다양성을 선보이는 기회로,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이 출품되어 관람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멀티 플랫폼 전략이 두드러지며, 게임 산업의 트렌드 변화도 느껴졌다.
지스타 2024에는 인기 IP를 기반으로 한 대작부터 서브컬처 게임,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게임들이 다수 전시됐다. 넥슨 부스에서는 RPG ‘퍼스트 버서커: 카잔’과 ‘프로젝트 오버킬’이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으며, 30주년을 맞은 넥슨의 대표 게임들이 전시된 기념존도 많은 인기를 끌었다.
넷마블은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로 대한민국 게임대상을 수상한 이후 콘텐츠 확장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왕좌의 게임’ IP 기반의 오픈월드 RPG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가 관람객을 끌어모았다. 펄어비스는 오랜 기다림 끝에 ‘붉은 사막’을 공개했고, 크래프톤은 AI 기반 게임 ‘인조이’를 선보였다.
이번 지스타에서 모바일 게임의 비중이 줄어들고, 대신 콘솔 및 PC 게임들이 눈에 띄며 멀티 플랫폼 게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이었다. 방준혁 넷마블 의장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최적화된 게임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히며 게임 이용자들의 저변 확대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국제 전시회로서의 기능이 부족하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으로 남았다. 외국 업체들의 참가가 저조해 실제로는 한국 게임사들의 행사라는 인식이 강했다. 44개국, 1375개사가 참여했다는 주최 측의 발표와는 달리, 대부분의 외국 부스는 비즈니스 미팅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주요 게임사들의 부스는 부족했다.
게임학계 전문가들은 지스타가 글로벌 게임 전시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주요 게임사들의 유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부산의 지리적 접근성 문제도 지적되었으며,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부산이 한국의 ‘게임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글로벌 업체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