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 증가, 노인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
2023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76.6%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68.1%에 달한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주 5.9일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1.3시간이다. 하루 3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노인의 비율은 10.1%에 그쳤다.
배우자 유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비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노인은 76.3%가 스마트폰을 사용한 반면, 배우자가 없는 노인은 55.9%로 낮았다. 또한, 배우자가 있는 노인은 주 6일 스마트폰을 사용한 반면, 배우자가 없는 노인은 5.7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사용률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전문대학 이상의 노인에서는 사용률이 93.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중인 노인의 사용률은 79.5%로 미취업 노인(60.9%)보다 높았다.
한편, 스마트폰 사용 증가와 동시에 오프라인 커뮤니티 공간인 경로당 이용률은 감소했다. 경로당 이용률은 2020년 28.1%에서 2022년 26.5%로 소폭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활용도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강조하고 있다. 자기효능감은 노인이 필요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김현주 서원대 아동복지학과 겸임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활용 정도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고 밝혀졌다.
김 교수는 노인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용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 증진과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신업계도 노인 고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활용 방법을 안내하는 서비스에 힘쓰고 있다. SK텔레콤은 공식인증대리점을 통해 기본적인 스마트폰 설정 방법을 안내하고 있으며, LG유플러스는 일부 매장에 스마트폰 사용법을 가르치는 '스마트폰 배움실'을 운영하고 있다.
김 교수는 노인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언급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노인들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된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