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업 세일즈포스, 9시간 이상 서비스 중단… 안정성 우려 증폭
세일즈포스는 15일 약 9시간 27분간 아시아태평양 및 북미 지역에서 서비스 중단 사태를 겪었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기업의 영업 및 고객관리 업무에 차질이 발생했다. 세일즈포스는 보상 문제에 대해서는 별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지난 7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대규모 서비스 장애에 이어 발생한 것으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와 세일즈포스 모두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SaaS) 솔루션에서 유명한 기업들이다.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SaaS 시장은 2023년 2735억 달러에서 2032년까지 1조2288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18.4%의 고성장이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확대와 함께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세일즈포스는 CRM 시장에서 21.7%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위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3배가 넘는 수치이다. 포춘 100대 기업 중 90% 이상이 세일즈포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5만 개 기업이 고객으로 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3만여 개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사이버 공격 조사에 참여하여 사이버보안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서비스 중단은 두 기업의 위상에 큰 타격을 입혔으며, 두 사건 모두 해킹이나 인공지능(AI) 오류가 아닌 내부 시스템 변경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세일즈포스는 데이터베이스(DB) 연결 구성 변경 중 오류가 발생한 경우로 파악되었고,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과정에서 결함이 생겼다.
세일즈포스의 국내 고객사는 약 150여 곳으로 아모레퍼시픽, LG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교보생명 등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지방 정부의 재난 관리 시스템마저 마비되는 사례가 있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850만 대 이상 윈도 기기가 영향을 받았고, 1만 편 이상의 항공편이 취소되었다. 델타항공은 이와 관련하여 5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연이은 서비스 중단 사태는 SaaS 기업들이 직면한 과제를 드러내며, 클라우드 서비스의 복잡한 구조 속에서 내부 변경 하나로도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위험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SaaS 기업들은 이처럼 복잡한 시스템의 안정성과 혁신 간 균형을 잡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되어야 한다.
HFS리서치의 필 퍼슈트 CEO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장애 사건 이후 IT업계가 자동 업데이트를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스템 변경 전 통제된 조건에서 예비 배포를 진행하는 방식이 대규모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