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or 함수 설명 및 활용 예제
함수 설명
floor
함수는 주어진 숫자 n
을 내림하여 정수로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round()
함수와 비슷하지만, 소수점 이하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내림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floor(5.99999)
는 5를 반환하며, floor(5.2)
와 floor(5.6457)
도 각각 5를 반환합니다.
문법
floor(n);
매개변수
매개변수 | 타입 | 설명 |
---|---|---|
n | 숫자 | 내림할 숫자 |
반환값
- 내림된 정수 값
예제
val = floor(3.9);
위 코드는 val
에 3을 설정합니다.
활용 예제
1. 게임 점수 내림
게임에서 점수를 내림하여 정수로 표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ore = 99.99;
final_score = floor(score); // final_score는 99가 됩니다.
2. 캐릭터 이동
캐릭터의 위치를 정수로 설정할 때 유용합니다.
x_position = 50.7;
y_position = 20.3;
x_floor = floor(x_position); // x_floor는 50이 됩니다.
y_floor = floor(y_position); // y_floor는 20이 됩니다.
3. 시간 계산
시간을 계산할 때 소수점을 내림하여 정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time_in_seconds = 123.45;
whole_minutes = floor(time_in_seconds / 60); // whole_minutes는 2가 됩니다.
4. 배열 인덱스
배열의 인덱스를 정수로 변환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dex = 3.7;
array_value = myArray[floor(index)]; // array_value는 myArray[3]의 값을 가져옵니다.
5. 랜덤 값 생성
랜덤으로 생성된 소수점을 내림하여 정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random_value = random(10); // 0과 10 사이의 랜덤 소수
integer_value = floor(random_value); // integer_value는 0부터 9 사이의 정수가 됩니다.
이와 같이 floor
함수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