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스프라이트 컬링 확인 함수
이 문서에서는 gpu_get_sprite_cull
함수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함수는 스프라이트와 타일 맵의 프러스텀 컬링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반환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문법
gpu_get_sprite_cull()
반환값
- Boolean: 스프라이트 컬링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true
, 그렇지 않으면false
를 반환합니다.
사용 예제
다음은 gpu_get_sprite_cull
함수를 사용하는 예제입니다.
var _cull_sprites = gpu_get_sprite_cull();
위의 코드는 gpu_get_sprite_cull
함수를 호출하여 현재 스프라이트가 뷰 프러스텀에 대해 컬링되는지를 확인합니다. 그 결과는 임시 변수 _cull_sprites
에 저장됩니다.
활용 및 응용 예제
예제 번호 | 설명 |
---|---|
1 | 스프라이트 컬링 상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게임 로직 |
2 | 컬링이 비활성화된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UI |
3 | 게임 설정에서 스프라이트 컬링을 켜고 끌 수 있는 옵션 추가 |
4 | 성능 최적화를 위해 컬링 상태를 체크하고 로그에 기록하는 기능 |
예제 1: 스프라이트 컬링 상태에 따라 다른 동작 수행
if (gpu_get_sprite_cull()) {
// 컬링이 활성화된 경우의 동작
show_message("스프라이트 컬링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else {
// 컬링이 비활성화된 경우의 동작
show_message("스프라이트 컬링이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예제 2: 컬링 비활성화 시 경고 메시지 표시
if (!gpu_get_sprite_cull()) {
show_warning("경고: 스프라이트 컬링이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예제 3: 게임 설정에서 컬링 옵션 추가
// 설정 메뉴에서 컬링 활성화/비활성화
if (setting_cull_sprites) {
gpu_set_sprite_cull(true);
} else {
gpu_set_sprite_cull(false);
}
예제 4: 성능 최적화를 위한 로그 기록
var culling_status = gpu_get_sprite_cull();
if (culling_status) {
log("스프라이트 컬링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else {
log("스프라이트 컬링이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