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g_add_font_glyphs 함수 설명
dbg_add_font_glyphs
함수는 TTF 폰트에서 문자 범위를 추가하여 디버그 오버레이에서 텍스트 렌더링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함수는 문자열 형태의 폰트 이름을 인자로 받으며, 해당 폰트는 포함된 파일에 있어야 합니다. 추가하고자 하는 글리프는 주어진 TTF 폰트에 존재해야 합니다.
글리프 범위 상수
다음 값들을 사용하여 문자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범위 상수 | 범위 설명 |
---|---|
-1 | 기본 라틴 범위 |
0 | 그리스어 |
1 | 한국어 |
2 | 일본어 |
3 | 중국어 전체 |
4 | 간체 중국어 일반 |
5 | 키릴 문자 |
6 | 태국어 |
7 | 베트남어 |
함수 구문
dbg_add_font_glyphs(filename, [size], [font_range]);
인자 설명
인자 이름 | 타입 | 설명 |
---|---|---|
filename | String | 사용할 TTF 파일의 파일 이름 |
size | Real | 폰트 크기 (기본값은 13픽셀) |
font_range | Real | 추가할 문자 범위 (기본값은 -1) |
반환값
- N/A
예제
dbg_add_font_glyphs("korean_font.ttf", 24, 1);
위 코드는 "korean_font.ttf" TTF 폰트 파일에서 한국어 문자 범위의 글리프를 추가합니다. 사용된 폰트 크기는 24입니다.
활용 예제
예제 1: 기본 라틴 문자 추가
dbg_add_font_glyphs("default_font.ttf", 16, -1);
예제 2: 일본어 문자 추가
dbg_add_font_glyphs("japanese_font.ttf", 20, 2);
예제 3: 간체 중국어 문자 추가
dbg_add_font_glyphs("simplified_chinese_font.ttf", 18, 4);
예제 4: 태국어 문자 추가
dbg_add_font_glyphs("thai_font.ttf", 22, 6);
예제 5: 키릴 문자 추가
dbg_add_font_glyphs("cyrillic_font.ttf", 1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