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재활용 혁신,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
인천의 한 민간 재활용 선별장에서 40명이 근무하며 분리 배출된 쓰레기를 크레인으로 집어 컨베이어벨트 위에 올리고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재활용품으로 수거된 플라스틱 중 실제로 재활용되는 경우는 4개 중 1개에 불과하며, 나머지 3개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가 섞여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과 인력이 낭비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73%에 이르지만, 실제 다시 플라스틱으로 재탄생하는 비율은 약 23%에 불과하다.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더럽거나 재활용할 수 없는 재질이 섞여 있어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1년 기준으로 가정에서 버린 플라스틱은 총 323만 톤이며, 이 중 분리 배출 처리된 것은 145만 톤이고, 그 중 재활용 가능하다고 선별된 양은 77만6000 톤(54%)이다. 실제로 재활용된 양은 약 45만 톤에 그쳐 재활용 생태계의 비효율성을 보여준다.
재활용 업체들은 수익을 내기 어려운 악순환에 봉착해 있다. 한국환경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6500개 재활용 업체 중 80%는 종업원이 20인 이하이며, 1~5인 이하의 업체가 55%에 달한다.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업체도 57%에 달하며, 45.2%는 아예 매출액이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은 업체들이 보조금 등에 의존하며 운영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 투자도 어려워지고, 재활용품의 품질은 떨어지고 있다. 충남대 환경공학과의 장용철 교수는 영세한 재활용 업체들이 산업 경쟁력을 저하시킨다고 지적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실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만을 분리 배출하고 수거하는 방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새로운 배출 체계를 시험하는 지역들이 늘고 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주에서는 쓰레기 수거업체가 매립,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총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고 있으며, 재활용 쓰레기의 반입과 세척 등을 수시로 검사하고 있다. 일본 후쿠오카현의 경우 플라스틱 쓰레기도 종량제 봉투를 구입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매립장과 소각장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에서 재활용을 늘릴 수 있는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천에서 재활용 선별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플라스틱 분류 작업이 혼란스러워 진짜 재활용 가능한 것들만 분리 배출할 수 있는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이루어진다면 재활용 선별 작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