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게임사 성적표: 흑자와 적자의 극명한 갈림길

올해 3분기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수익성이 명확히 흑자와 적자로 나뉘었다. 일부 게임사는 강력한 기존작과 신작 조화를 통해 성과를 내며 흑자를 기록한 반면, 기존작에 머물거나 신작 성과가 미비한 게임사는 수익성이 악화되었다. 또한, 방어적인 비용 절감 전략을 선택한 기업들과 신작 발굴에 도전하는 기업들의 향후 동향도 관심을 받았다.

비즈워치는 18개 주요 게임사의 3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8개 회사가 매출 성장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이들 회사는 넥슨, 크래프톤, 넷마블, NHN, 더블유게임즈, 데브시스터즈, 시프트업, 웹젠이다. 특히 넥슨은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1조2293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영업이익 역시 11% 증가한 4672억 원에 달했다.

크래프톤은 매출이 60% 증가한 7193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71% 증가한 3244억 원을 기록했다. 넷마블은 매출이 3% 증가한 6473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상위 매출 게임들이 사업 다각화에 기여하고 있다. 위메이드는 매출이 9%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4% 증가하여 수익성 중심의 경영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적자를 기록한 게임사들도 있었다. NHN은 모든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증가했지만, '티메프 사태'로 인해 적자 전환되었다. 엔씨소프트는 신작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12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고, 카카오게임즈는 모바일 게임 매출 감소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그라비티와 네오위즈 역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하락세를 보여주었다.

펄어비스는 신작 부재로 인해 수익성에서 부진을 겪고 있으며, 웹젠은 신작 '뮤 모나크2'의 흥행으로 매출이 증가했지만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컴투스홀딩스와 조이시티도 각각 적자를 기록하는 등, 많은 게임사가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적자에 서 있는 많은 게임사들은 기존 IP 강화와 신작 출시를 통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각사의 향후 전략과 실적 개선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

Read more

삼성전자,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서 경쟁력 강화하며 신모델 출시 예정

삼성전자가 중저가형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갤럭시 A 시리즈는 글로벌 판매량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어, 새로운 중저가 모델들이 삼성의 스마트폰 판매 성과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펜에디션(SE)을 출시한 데 이어 갤럭시 A56, A36, 갤럭시 Z 플립 FE 모델도 예정하고 있다. 특히 갤럭시 A56은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드래곤빌리지 어드벤처, 출시 10일 만에 양대 마켓 1위 등극!

하이브로(대표 원세연)가 출시한 모바일 게임 '드래곤빌리지 어드벤처'가 출시 열흘 만에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다. 이 게임은 간단한 조작과 가벼운 플레이 방식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연령층이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드래곤빌리지 어드벤처의 인기 상승은 다양한 유저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았음을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신작 MOBA 배틀로얄 '슈퍼바이브', 21일 오픈베타 시작!

신작 PC 게임 '슈퍼바이브'가 21일 국내에서 오픈베타테스트(OBT)를 시작한다. 이 게임은 MOBA 배틀로얄 장르로, 빠른 속도의 전투와 높은 자유도를 통해 다양한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글로벌 게임 개발자들이 모인 띠어리그래프트가 개발한 이 게임은 16종의 '헌터' 캐릭터를 기반으로 예측 불가능한 전투를 즐길 수 있다. 오픈 베타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홍범식 사장, LG유플러스의 '유플러스 3.0' 전략 이끈다

LG유플러스가 홍범식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홍 사장은 LG유플러스의 향후 비통신 신사업 매출 비중을 40%로 확대하고, 기업 가치를 12조원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유플러스 3.0' 전략을 이끌 예정이다. 이번 인사는 21일 이사회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홍 사장은 SK텔레콤에서 신사업 개발을 주도했던 경험이 있다. 홍 사장은 2018년 구광모 회장이 단행한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