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안 기업 3분기 실적 극과 극, 투자와 수익의 갈림길
국내 보안 기업들은 2023년 3분기 동안 상반된 실적을 보였다. 공공과 민간 부문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호실적을 기록한 기업들이 있는 반면, 신사업 투자와 기업 인수에 따른 비용으로 손실을 입은 기업들도 나타났다. 주요 기업들인 지니언스, SK쉴더스, 신시웨이는 영업익과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성과를 달성했다.
지니언스는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익이 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0.8% 증가했다고 밝혔다. 매출액 역시 104억원으로 34.9% 증가했으며, 주된 성장 요인은 네트워크 접근제어(NAC)와 단말 위협 탐지 및 대응(EDR) 부문에서 공공 및 민간 고객을 추가 확보한 데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NAC의 지방자치단체와 대기업 수요가 실적 상승에 크게 기여했다고 전했다.
신시웨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9% 상승한 영업익 3억2천만원을 기록했으며, 금융권의 보안 시스템 신규 구축 및 국가 행정기관 수주가 실적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동안 매출액은 25억원으로 46% 증가했다. SK쉴더스는 영업익이 353억원으로 8.6% 증가했으며, 물리 및 정보보안 사업의 고른 성장 덕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안랩은 보안 솔루션 사업의 성장을 바탕으로 영업익이 소폭 증가하여 85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일부 기업들은 연구개발 투자와 기업 인수 등으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실적을 보였다. 한싹은 3분기 영업손실이 12억1천5백만원에 달하고 누적 손실이 약 31억원에 이르렀으며, 이는 AI 신사업 개발 및 인수 비용 때문으로 분석된다.
모니터랩은 올해 상반기 매출이 19억원에 그쳤고, 어플라이언스 매출의 감소로 전체 매출은 변동이 없었다. 다만, 내년 망분리 규제가 개선되면 제품 판매량 증가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 보안 업체 관계자는 "보안은 필수적인 투자 항목으로, 하반기에는 실적 개선이 더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분기에 영업손실이 1억5천만원으로 줄어들었으며, 매출액은 149억원으로 약 69% 증가했다. 디지털 인증 서비스와 제로트러스트 솔루션의 성장 덕분에 이룬 성과다. 전반적으로 국내 보안 업계는 내년 망분리 규제 완화와 보안 투자 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