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웹툰, 드라마와 게임으로 IP 혁신 이끌다!

K-웹툰이 2차 창작물의 원천 지식재산(IP)으로 자리잡고 있다. 드라마와 게임 산업 등에서 웹툰과 웹소설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가 활발히 제작되고 있으며, 이는 대중에게 새로운 결과물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N의 드라마 ‘정년이’는 웹툰을 원작으로 하여 16.5%의 시청률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국내 웹툰 산업의 매출은 2017년 3799억원에서 2022년에는 1조8290억원으로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K-웹툰의 시장 가치는 2조원에 육박한다. 해외 시장에서도 K-웹툰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으며, 네이버웹툰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4조3522억원에 달하고, 그중 K-웹툰 수출로 인한 효과는 2조4062억원이다.

IP(지식재산권)의 확장력이 K-웹툰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인기 웹툰과 웹소설이 드라마, 영화, 게임 등의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는 독자나 이용자의 원작 재유입을 촉진하는 선순환을 형성한다.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29개의 작품을 영상화해 방송하면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여러 웹툰의 판권을 판매하며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2차 창작물을 제작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150건 이상의 영상화 판권을 판매한 것으로, 이는 과거 15년과 비교할 때 큰 성장을 의미한다.

K-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들은 높은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특히 ‘정년이’는 웹툰 조회수를 13배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를 보였다. 또 다른 예로 카카오페이지의 ‘내일의 으뜸: 선재 업고 튀어’는 드라마 방영 중 쏟아지는 관심을 받고 있으며, 아시아 전역에서 인기를 끌었다.

웹툰의 게임화 작업도 늘고 있으며, 넷마블은 웹툰 ‘신의 탑’을 원작으로 한 RPG와 ‘나 혼자만 레벨업’을 게임화한 RPG를 출시했다. 기존 IP를 활용하는 이유로는 확고한 인지도와 팬덤을 기반으로 새로운 소비자를 유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원작 팬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이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IP 재활용이 창작의 쇠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전문가들은 IP의 지속적인 활용에 따른 부작용을 경계하고 있다.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

Read more

삼성전자,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서 경쟁력 강화하며 신모델 출시 예정

삼성전자가 중저가형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갤럭시 A 시리즈는 글로벌 판매량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어, 새로운 중저가 모델들이 삼성의 스마트폰 판매 성과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펜에디션(SE)을 출시한 데 이어 갤럭시 A56, A36, 갤럭시 Z 플립 FE 모델도 예정하고 있다. 특히 갤럭시 A56은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드래곤빌리지 어드벤처, 출시 10일 만에 양대 마켓 1위 등극!

하이브로(대표 원세연)가 출시한 모바일 게임 '드래곤빌리지 어드벤처'가 출시 열흘 만에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다. 이 게임은 간단한 조작과 가벼운 플레이 방식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연령층이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드래곤빌리지 어드벤처의 인기 상승은 다양한 유저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았음을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신작 MOBA 배틀로얄 '슈퍼바이브', 21일 오픈베타 시작!

신작 PC 게임 '슈퍼바이브'가 21일 국내에서 오픈베타테스트(OBT)를 시작한다. 이 게임은 MOBA 배틀로얄 장르로, 빠른 속도의 전투와 높은 자유도를 통해 다양한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글로벌 게임 개발자들이 모인 띠어리그래프트가 개발한 이 게임은 16종의 '헌터' 캐릭터를 기반으로 예측 불가능한 전투를 즐길 수 있다. 오픈 베타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

홍범식 사장, LG유플러스의 '유플러스 3.0' 전략 이끈다

LG유플러스가 홍범식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홍 사장은 LG유플러스의 향후 비통신 신사업 매출 비중을 40%로 확대하고, 기업 가치를 12조원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유플러스 3.0' 전략을 이끌 예정이다. 이번 인사는 21일 이사회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홍 사장은 SK텔레콤에서 신사업 개발을 주도했던 경험이 있다. 홍 사장은 2018년 구광모 회장이 단행한

By 이재협/실장/시스템개발실/PH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