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레와 텐스토렌트, AI 데이터센터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모레(MOREH)는 AI 반도체 기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이 협약은 11월 4일 서울에 위치한 모레 본사에서 진행되었으며, 두 회사는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파트너십의 주된 목표는 엔비디아(NVIDIA)의 칩 독점을 타파하고, 엔비디아의 '쿠다(CUDA)' 프레임워크의 지배력을 대체하는 것이다.
모레는 서울대학교에서 10년 이상 슈퍼컴퓨터용 소프트웨어 연구를 해온 연구진이 설립한 회사로, GPU와 NPU를 결합한 병렬처리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조강원 대표는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및 전기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토종 슈퍼컴퓨터 '천둥' 개발에 참여한 경험도 있다. 반면, 텐스토렌트는 짐 켈러가 창립한 AI 반도체 기업으로, 그는 AMD, 테슬라, 애플에서 CPU 및 AI 반도체 개발을 이끌었던 저명한 인물이다.
모레와 텐스토렌트는 신경망처리장치(NPU)와 모레의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2025년 상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은 단순한 추론을 넘어서 초대형 언어 모델의 학습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이를 통해 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는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경쟁할 예정이다.
모레 소프트웨어의 확장성과 텐스토렌트의 칩 확장성이 결합된 점은 큰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파두의 남이현 대표는 이 조합이 기존의 초거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개발에 유용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이들은 오픈 인스트럭션 아키텍처를 통해 쿠다 플랫폼과의 호환성을 보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짐 켈러는 과거 모레에 지분 투자를 고려한 적이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지분 투자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이다. 조강원 대표는 엔비디아와의 경쟁을 위해 AI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협력으로 AI 데이터센터 시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켈러 CEO는 모레의 기술 역량이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할 것이며, 협력하여 AI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양사는 앞으로의 협력을 통해 시장 내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