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노스메드, AI 기반 이미지 분석 사업 확대 위해 260만 달러 투자 결정
카이노스메드가 AI 기반의 공간전사체 이미지 분석 사업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회사는 18일 미국의 AI 기반 싱글셀 분석회사의 핵심 자산을 인수하는 벤처캐피탈 펀드에 26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200만 달러는 이미 송금 완료되었으며, 나머지 60만 달러는 추후 송금될 예정이다.
이번 투자의 주목적은 신약개발과 AI 기반 이미지 분석 사업 간의 시너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카이노스메드는 해당 투자를 통해 기존 신약개발 사업의 확대를 도모하겠다는 전략으로, 미국 현지 벤처캐피탈 아델파이벤처스가 설립한 펀드에 유한책임투자자로 참여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 펀드는 AI 진단업체 리버스바이오시스템즈의 핵심 지적재산권을 기반으로 설립되는 오믹인사이트의 지분 100%를 인수할 계획이다.
오믹인사이트의 IP는 DNA와 RNA 분포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기술은 고해상도 AI 현미경을 통해 다양한 대학 및 글로벌 제약사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제넨텍과 디날리 파마슈티칼스와의 공동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셀에 게재된 바 있다. 이 IP는 글로벌 유전자 분석 기업 일루미나의 벤처부문으로부터 54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카이노스메드는 이번 투자가 기존 신약개발과의 시너지를 통해 빠른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보유 중인 파킨슨 치료제 후보물질 KM-819는 미국에서 임상2상 시험을 진행 중이며, 국내 다계통위축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기섭 카이노스메드 대표이사는 이번 기술을 활용하면 파킨슨병 치료 효과를 세포 이미지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뇌질환 신약 개발 분야의 새로운 시장 개척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는 또한 신약 개발 중장기 전략으로 AI 바이오 이미징 분석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믹인사이트를 통해 공간생물학을 활용한 이미지 분석이 가능해져 신약개발에 필요한 작용 기전과 약물 치료 효과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AI 분석 결과는 바이오마커로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만약 오믹인사이트가 향후 경영권 매각이나 기업공개(IPO)를 하게 된다면 카이노스메드에게는 자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 있다.
펀드 운영사인 아델파이벤처스는 국내외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를 전문으로 하며, 미국과 한국의 유망 기술 기업들을 발굴하고 글로벌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정태흠 대표는 카이노스메드의 잠재력과 오믹인사이트의 핵심 IP가 결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공간생물학은 생명체 내 DNA와 RNA를 공간적인 맥락에서 분석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활용한 현미경 기술이 이를 지원한다. 현재 이 분야의 시장 규모는 커지고 있으며, 브루커, 나노스트링, 10x지노믹스 등 주요 기업들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 발전은 특히 노화, 암, 치매 등 복잡한 질병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