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명 속 네이버 검색 점유율 9년 간 20% 감소, 경쟁 격화 예고
국내 검색 시장에서 인공지능(AI) 검색 기술의 고속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의 시장 점유율이 최근 9년 동안 약 20%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발간한 'ICT 브리프 2024 39호'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0월까지 네이버의 검색 시장 점유율은 57.32%로 1위를 기록했으며, 구글은 33.9%로 뒤따르고 있다. 그러나 2015년 같은 기간 네이버의 점유율이 78.06%였던 점을 감안하면, 국내 검색 시장 구조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고서는 2022년 챗GPT의 등장 이후 AI와 검색 엔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하이브리드 방식의 AI 검색엔진이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의 키워드 중심 검색 방식은 사용자 질문의 뉘앙스와 의미를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반면, AI 검색엔진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와 맥락을 파악해 정교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AI 검색엔진은 복잡한 문장 처리 능력과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 제공 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AI 검색엔진의 발전은 검색 시장의 지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2023년 2월 AI 챗봇 '빙'에 오픈AI의 초거대 언어모델을 적용한 '뉴 빙'을 발표했으며, 한 달 만에 GPT-4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였다. 이로 인해 '빙'은 지난해 12월에 10.53%의 검색 점유율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생성형 AI 기술의 도입으로 기존 검색 엔진 사용 횟수가 현재 대비 25%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 외에도 오픈AI는 챗GPT 기술을 바탕으로 질문 응답, 요약, 비교 및 출처 제시 기능을 포함한 '챗GPT 서치'를 출시하였고, 구글은 웹사이트 검색 시 생성형 AI '제미나이'의 요약 내용을 우선적으로 노출하는 'AI 오버뷰' 기능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검색 엔진 사용 방식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 AI 검색 엔진 시장에서 네이버, 뤼튼, 라이너, 솔트룩스 등 다양한 기업들이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하며 치열한 경쟁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는 MS와 구글 같은 대형 IT 기업들과 비교해 AI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재 AI 검색 서비스 '큐'(CUE:)의 PC 버전에 대한 시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반 검색 기술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