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르테미스 계획 속 존재감 부각 필요성 제기
한국의 우주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아르테미스 계획에서 한국의 존재감이 미약하다는 지적이 있다. 일론 머스크가 스페이스X CEO로서 화성 진출을 강조하면서 미국 주도의 우주 개발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독특한 우주 기술을 부각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발사체 기술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통신 및 로봇 분야 등 한국의 강점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통해 한국이 국제 우주 협력의 '플레이어'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 올해 출범한 우주항공청을 통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 아르테미스 계획은 2026년까지 사람을 달에 착륙시키고, 2030년대부터는 월면 기지를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도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고 있지만, 현재 한국의 우주기술 생태계가 열악해 힘든 상황이다. 연구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인공위성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달에서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창진 명예교수는 달에 기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한국이 이러한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실질적인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은 2022년에 첫 달 궤도선 '다누리'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이 궤도선이 BTS의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를 지구로 전송하는 데 성공하면서 중요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와 같은 고난도 기술은 한국의 우주 기술 발전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황호원 한국항공대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은 한국이 선발 우주 개발 국가들을 단순히 추격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무중력 환경에서 의약품을 개발하거나 로봇을 활용한 임무 수행과 같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한국의 우주항공청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스타트업 지원과 인재 양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주항공청은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한국의 우주 정책을 세우는 역할에도 집중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