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전 정체 후 성능 개선에 대한 우려 커져
최근 생성형 AI 발전이 정체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과거에 AI 모델의 한계를 부정하며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 AI 성능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나, 최근 여러 고위 관계자들은 AI의 발전이 예상보다 느리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앤드리슨호로위츠의 벤 호로위츠는 AI 훈련에 필요한 GPU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지능 향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발언하며 업계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오픈AI의 공동창립자 일리야 수츠케버도 AI 모델의 사전 훈련 확대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디인포메이션에서는 오픈AI가 개발 중인 GPT-5와 구글의 제미나이 2.0 모두 대량의 데이터를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하의 성능 개선으로 신형 모델의 출시가 지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챗GPT의 출시 이후 AI 분야는 성능 경쟁이 치열했으나, 현재는 AI 발전 속도가 느려지면서 'AI 버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AI 업계는 지난해 대비 분위기가 급변했으며, 사용자의 효용성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오픈AI는 최근 출시한 GPT-4o에서 경량화와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을 강화했으며, 구글과 앤스로픽도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AI 인프라 투자 비용의 증가와 데이터 고갈 문제가 있다. 학습 가능한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AI 회사들은 AI로 생성된 데이터를 활용하고자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해당 방법의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정체 이유로 인해 AI 개발자들은 기존의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우회로를 모색하는 중이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