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5G 회선 수 3487만 개 증가, LTE는 감소세 지속
2023년 9월 기준으로 한국의 5G 회선 수가 약 3487만 개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0.6% 증가한 수치이다. 반면, 4G LTE 회선은 2153만 개로, 지난해 2391만 개에 비해 9.9% 감소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G 회선은 이동통신 3사와 알뜰폰을 합친 수치이다.
5G 회선 수의 사업자별 분포를 살펴보면, SK텔레콤이 1657만 회선으로 전체의 47.53%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회선을 보유하고 있다. 그 다음은 KT가 1025만 회선(29.39%), LG유플러스가 765만 회선(22.04%), 알뜰폰이 36만 회선(1.05%)으로 나타났다.
LTE 회선은 이동통신 3사에서만 줄어든 반면, 알뜰폰에서는 증가세를 보였다. 알뜰폰의 LTE 회선 수는 지난해 788만에서 올해 891만으로 약 13.09% 증가했다. 이는 LTE 회선 전체에서 알뜰폰 비중이 지난해 32.95%에서 올해 41.38%로 늘어난 이유이기도 하다.
3G 회선은 올해 75만 회선에서 56만 회선으로 약 25.86%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월부터는 70만 회선 이하로 줄었고, 7월에는 60만 회선 이하로 내려갔는데, 이런 추세라면 연말이나 내년 초에는 50만 회선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휴대폰 단말기 유형에 있어서는 스마트폰과 피쳐폰 간의 차이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올해 9월 기준 스마트폰 회선 수는 5612만 회선으로, 지난해 5507만 회선에서 약 1.89% 증가했다. 반대로 피쳐폰 회선은 111만 회선에서 85만 회선으로 약 23.78% 감소하며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통신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