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미셀, 바이오에서 소재 사업으로의 급격한 전환과 실적 성장
파미셀은 세계 최초로 줄기세포 치료제를 상용화한 1세대 바이오기업으로, 최근 세포 치료제 개발사에서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이 변화는 인공지능(AI) 가속기 기판에 필요한 저유전율 소재의 판매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루어졌다. 김현수 파미셀 대표는 17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저유전율 소재의 매출 비중이 회사 전체 매출의 40%를 초과했다고 강조했다.
파미셀의 저유전율 소재 매출은 지난해 91억원에서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이 153억원에 달하는 등 큰 폭으로 증가했다. 김 대표는 이미 수주된 물량을 근거로 올해 전체 저유전율 소재 매출이 230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소재는 두산전자에 공급되며, 이는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하드웨어 제조업체에 납품되는 원료가 된다.
김 대표는 파미셀의 전통적인 사업 모델에서도 변화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과거에는 인산염을 주 원료로 다루던 파미셀이, 저유전율 소재의 수요 증가로 인해 이를 생산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소량의 저유전율 소재를 제조해 납품했으나, 일본의 파나소닉 등에서 이 분야에서 철수함에 따라 새로운 사업 기회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파미셀은 미국에 수출 중인 친환경 농약의 매출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이 104억원에 이를 정도로 성장했으며, 올해 3분기까지의 매출도 87억원에 달했다. 김 대표는 올해 매출이 작년 수준과 유사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파미셀은 이러한 실적 증대에 힘입어 외부 자금 조달 없이 신약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원료로 한 간경변 임상 3상의 중간 결과를 곧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발기부전 환자를 위한 치료제의 임상 2상도 막바지 단계에 있으며, 목표로 한 54명 중 53명이 이미 투약을 완료했다. 김 대표는 임상 결과에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시했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