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KAIST의 4족 보행 로봇 '라이보2' 마라톤 풀코스 완주 성공!
KAIST 기계공학과의 황보제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4족 보행로봇 ‘라이보2’가 17일 제22회 상주 곶감 마라톤 대회에서 42.195km의 풀코스를 완주하며 세계 최초의 성과를 기록했다. 라이보2는 4시간 19분 52초의 기록으로 완주하였고, 이는 기존 사족보행 로봇이 20km 정도만 주행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해 두 배가 넘는 거리이다.
이 마라톤 대회의 코스는 14km와 28km 지점에 각각 고도 50m의 언덕이 두 번 반복되는 어려운 구조로, 아마추어 마라토너들에게도 높은 난이도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라이보2를 1회 충전으로 43km까지 연속 보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교내 대운동장에서 GPS 경로를 따라 4시간 40분에 걸쳐 완주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황보 교수의 ‘라이심(Raisim)’ 시뮬레이션 환경을 활용하여 다양한 걷기 환경을 모사하고,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보행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내리막길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충전하여 언덕을 오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일부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했다.
특히, ㈜라이온로보틱스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로봇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보행 로봇은 지면 접촉 시 발생하는 진동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제조 기술이 실제 마라톤 주행 시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기구 설계, 전장 설계,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등을 모두 자체 개발하여 문제를 복합적으로 해결하였다.
마라톤 완주 후 이충인 KAIST 박사과정 학생은 라이보2가 도심 환경에서 배달이나 순찰 등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증명했다고 강조했다. 후속 연구로는 자율주행 기능을 추가하여 산악 및 재난 환경에서도 최고 수준의 보행 성능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보 교수는 “KAIST에서 개발한 기술로 라이보2가 세계 최초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했다”면서, 이는 기존 로봇에 비해 주행 거리가 3배 증가했음을 입증하며 안전성도 인정받은 날이라고 밝혔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