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펜 1달러 공급 주장, 당뇨병 환자 치료 접근성 위기 점검
국경없는의사회(MSF)는 인슐린펜 가격을 1달러로 공급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중저소득 국가에서 당뇨병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높은 인슐린 가격으로 인해 이들 환자들이 치료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다. 현재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수는 약 5억3700만 명에 이르며, 중저소득 국가에서의 발병률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MSF의 조사에 따르면,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오는 2045년까지 당뇨병 환자가 13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 환자 중 절반만이 실제로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JAMA Network Open 저널의 발표에 따르면, 인슐린 펜의 생산 비용은 제조사의 이익을 포함하더라도 개당 약 0.94달러로 추정된다.
중저소득 국가에서 당뇨병 환자는 약 80%가 인슐린 펜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그 주된 이유는 가격이다. 현재 인슐린 펜의 가격은 지역에 따라 상이한데, 남아프리카에서는 1.99달러, 인도는 5.77달러, 필리핀은 14달러, 미국에서는 무려 90.6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MSF와 T1인터내셔널은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주사로 투여되는 바이알보다 인슐린 펜을 선호한다고 전하고 있다.
인슐린 펜은 투여의 정확성과 편리성으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노보 노디스크는 당뇨병 치료제인 위고비의 생산에 집중하면서 기존 인슐린 펜 생산을 줄이고 있다.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들은 인슐린 펜 대신 주사기로 투여하는 형태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남아프리카에서는 2014년 공공 부문에서 인슐린 펜을 도입했으나, 노보 노디스크의 공급 중단으로 인해 인슐린 펜 사용이 제한된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경과에 대해 MSF 같은 국제구호단체들은 비판을 제기하며,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더욱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헬렌 바이그레이브 MSF 액세스 캠페인 고문은 인슐린 발견 100주년을 맞이해 모든 당뇨병 환자가 1달러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요구했던 초기 과학자들의 비전을 되새기며, 현재 인슐린 접근성이 절반으로 줄어든 현실을 지적했다. 또한, 인슐린 펜이 고소득 국가에서는 표준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중저소득 국가에서는 거의 이용될 수 없는 상황을 비판했다.
MSF의 이러한 주장에는 전 세계 인슐린 시장 구조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 시장은 일라이 릴리, 노보 노디스크, 사노피와 같은 대기업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의 결정이 인슐린 접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강조된다. 따라서 MSF는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의사 결정이 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메이커.KR 게임 개발 뉴스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메이커.KR,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